이 주의 테마컨텐츠 biz contents
현재위치비즈컨텐츠 > 이 주의 테마컨텐츠
이 주의 테마컨텐츠
비즈컨텐츠테마컨텐츠 비즈폼 1월 넷째주
비즈폼 비즈폼
테마컨텐츠 1월 넷째주 테마컨텐츠 - "2006년 설날맞이(구정)" new
우리민족의 가장 큰 명절인 설날을 맞이하여 뜻 깊고 알찬 설을 보내기 위한 방법을 비즈폼에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모든 분들의 행복한 설을 기원하며 새해 인사 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비즈폼 비즈폼
전체리스트 보기
 
컨텐츠 설날상식1
설날상식2
설날선물
설날 즐기기
관련서식
 

비즈폼설날상식2

설빔

설날에 입는 새옷과 양말, 신발을 통틀어 '설빔'이라 한다. 특히 아이들은 까치저고리라 하는 색깔 고운 색동저고리를 입는데, 대표적인 때때옷이라 할 수 있다.

세배와 덕담

'차례'가 돌아가신 분들에게 올리는 예의라면 '세배'는 살아계신 어른들에게 공경의 마음을 표하는 예의이다. 세배를 드릴 때 "절 받으세요"라든가 "앉으세요"라고 하는 말은 예의 바르지 않다. 그런 명령조의 말보다는 "세배 드리겠습니다"라고 하는 게 좋다. 그러면 어른들은 건강을 빌어주거나 소원성취하라는 등 좋은 말을 해주는데 이것을 '덕담(德談)'이라 한다. 어른들은 앞으로 돈을 많이 벌라는 뜻으로 세뱃돈을 준다. 요즘은 아이들에게 돈 대신 문화상품권이나 도서상품권을 주기도 한다.

절의 횟수와 하는법

1. 남자는 양(陽)이기 때문에 최소 양수인 1회가 기본회수이다.
2. 여자는 음(陰)이기 때문에 최소 음수인 2회가 기본회수이다.
3. 평상시 어른에게는 남자는 1배, 여자는 재배가 원칙이나 절의 종류와 회수는 절을 받으실
    어른의 명에 따르는 것이다.
4. 각종 의식행사에서는 남자는 재배, 여자는 4배 한다.
5. 가족이나 친척이 아닌 남의 절에 대해서는 절하는 사람이 20세 이상이면 답배, 또는 맞절을
    해야 한다.

세배의 의미

민속명절 설날에 웃어른에게 절하며 새해인사로 덕담(德談)을 나누는 것을 세배라한다.
세배는 평소의 조석문안과 다른 하나의 의식이다.

가족끼리의 세배방법

1. 예를 들어 자녀를 둔 부부가 부모를 모시고 사는 가정이라면 설빔을 차려 입고 같이 선다.
2. 남자는 동쪽, 여자는 서쪽에 위치한다.
3. 먼저 부모와 부부 내외끼리 정중한 맞절로 세배한다.
4. 부모가 부동모서의 위치에서 남쪽을 향해 앉으면 부부와 자녀들이 북쪽을 향해 큰절을 하고
   새해인사를 여쭙는다.
5. 남편은 아버지의 왼쪽앞, 아내는 어머니의 오른쪽앞에 남쪽을 향해 앉으면 아들과 딸이 큰절
   을 하고 새해 인사를 여쭙는다.
6. 아들과 딸이 누이나 오라비에게 평절을 한다.

전통놀이

이날 어른들은 주로 윷놀이 ·칠교놀이 ·투호놀이 ·고누놀이를 하고 아이들은 연날리기 ·제기차기를 하며 여자들은 널뛰기를 즐긴다. 옛날에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새끼줄을 굵게 꼬아 양쪽에서 끌어당기는 고싸움놀이를 했다. 이런 놀이들은 각각 풍년을 기원하거나 복을 빌거나 건강을 소망하는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정월 초하룻날에는 대나무를 쪼개 만든 복조리를 사는 풍습이 있다. 조리는 쌀을 씻을 때 돌을 거르는 도구인데 설날 사는 조리에는 복이 묻어 들어온다고 하여 '복조리'라고 한다. 그래서 일년 동안 쓸 조리를 이날 새벽에 몽땅 사서는 두세 개씩 묶어서 문 위에 걸어둔다. 그 외에도 '청참'이라고 하여 새해 첫날 새벽에 밖에 나가서 제일 처음 어떤 짐승의 소리를 들었느냐에 따라 그 해의 농사가 풍년이 들 것인가를 점치기도 한다. 또 초하룻날에는 각자 신발을 방안에 들여 놓고 자는 풍습이 있다. 야광이라는 귀신이 신발을 신고 가버리면 그 신발 주인의 한 해 운수가 불길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설날음식

설날 먹는 대표적인 음식은 떡국이다. 떡국은 장수를 기원하는 뜻에서 흰 쌀을 쪄서 길게 뽑은 가래떡을 납작하게 썰어서 끓인다. 또 만둣국, 식혜, 수정과, 다식 등 여러 가지 음식을 만들어서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전체리스트보기
  뒤로 위로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